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나는 스물일곱 2등 항해사입니다.
- 아무도 없는 숲속에서
- 나는 매트로폴리탄 미술관 경비원입니다.
- 시집
- Python
- Stable diffusion
-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
- comfyui
- 에르난 디아스
- frozen lake
- 매트로폴리탄
- 타이핑좀비
- 황선엽
- 단어가 품은 세계
- 숨결이 바람이 될 때
- 타자연습게임
- 타이핑 몬스터
- openAI
- 운석피하기 게임
- 게임개발
- gymnasium
- 고양이발 살인사건
- Ai
- 쿠바전통음악
- Gym
- pygame
- 인생의 해상도
- 운석 피하기 게임
- 트렌드코리아2025
- 부에노비스타 소셜클럽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박노해 (1)
스푸79 기록 보관소

요즘 학교 교과과정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모르겠지만 내가 고등학교를 다닐때는 국어와 문학은 수업이 나눠져 있었다. 국어, 수학, 과학에 비하면 문학은 그나마 들을 만한 수업 중 하나였다. 단, 시를 빼고 말이다. 소설이나 수필은 나름 괜찮았다. 재미있었다. 옛날 조선시대 시도 그런대로 괜찮았다. 시도 짧아 외우기가 어렵지도 않았고 국사 수업에서 달달 외웠던 그 시대 상황과 맞물려 시의 배경도 쉽게 파악이 되었다. 문제는 근대사로 들러오면서 등장한 시였다. 대부분 일제 식민지 치하에 어렵게 출판된 시가 많았기에 시 속에 꽁꽁 숨겨놓은 의미들이 많았다. 특히 문학에서 근대시 시험 출제 문제는 난이도가 높았다. 시를 쓴 작가의 개인적인 상황부터 시대적인 상황까지 문제의 예문으로 나오기에 별별 내용을 다 알고 기..
끄적끄적
2024. 10. 17.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