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고양이발 살인사건
- comfyui
- 숨결이 바람이 될 때
- 아무도 없는 숲속에서
- 시집
- 제이슨 슈라이어
- 마담 프루스트
- 타이핑 몬스터
- 타이핑좀비
- 인생의 해상도
- 운석피하기 게임
- 에릭 바론
- 단어가 품은 세계
-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
- 야매요리사
- pygame
- 나는 스물일곱 2등 항해사입니다.
- 황선엽
- Ai
- 즐거운 어른
- gymnasium
- 타자연습게임
- Stable diffusion
- 나는 매트로폴리탄 미술관 경비원입니다.
- Python
- openAI
- 매트로폴리탄
- frozen lake
- Gym
- 게임개발
- Today
- Total
스푸79 기록 보관소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의 정원-기억하고 싶을까? 본문
인간의 뇌는 아주 복잡합니다.
3나노 반도체를 만들 정도로 정밀한 기계를 뽑아 낼 수 있을만큼
우리의 기술이 발전했지만
아직 인간은 머릿 속에 뇌를 똑같이 만들 수가 없습니다.
아니 사람말고 쥐처럼 아주 작은 동물의 뇌도 비슷하게조차 만들 수가 없습니다.
그나마 최근 AI의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과 아주 비슷하게 생각하는 기술(알고리즘)을 개발했을 뿐입니다.
그런데 뇌를 똑같이 만들 수 없지만
우리는 머릿 속의 뇌보다 훨씬 뛰어난 기억력과 빠른 계산 능력을 가진 칩을 만들수가 있습니다.
만약 우리의 뇌를
그런 칩으로 대체할 수 있다면
기억을 잘못하거나 계산이 틀려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문제들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 것입니다.
<마담프루스트의 비밀정원>의 주인공
폴은 어린 시절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꿈에서 그의 아빠는 항상 나쁜 사람으로 등장하고
엄마와 자신을 괴롭히는 사람으로 나옵니다.
뚜렷하게 뭘 잘못했는지 알지 못하지만
설명하기 어려운 흐릿한 과거 기억으로 인해
폴은 아무 말을 못하는 벙어리로 성인이 되고 맙니다.
만약 폴의 뇌에 그런 칩이 이식되어 있었다면
벙어리가 아닌 평범한 청년으로 성장했을 것입니다.
성능이 많이 떨어지는 인간의 뇌는
폴에게는 확실히 독이었다고 봅니다.
그런데 만약
인간의 뇌의 성능이 갑자기 좋아져서
아주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의 일을
모두 정확하고 선명하게 기억할 수 있게 된다면 어떨까요?
사실
우리에게는 그리 선명한 기억력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너무 뚜렷한 기억은
폴과 반대로 우리에게 독이 될 것입니다.
어떤 이는 밤새도록
과거의 부끄러운 기억들이 떠올라
이불킥하느랴 잠 못 들지 않을까요?
또 어떤이는
주위의 친구나 동료들에게
상처 받은 말 한마디, 사소한 실수까지
모두 기억하는 바람에
잘 지낼 수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나와 만나고 헤어진 많은 사람들 중에
누군가는 나를 기억하고 있을까?
이렇게 성능이 한참 떨어지는 기억력을 가진
인간의 뇌에
한 영역에 '나'라는 사람을
일부러 담고 있고 사람이 있을까?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송세월-가지볶음밥을 음미하며 (32) | 2024.09.24 |
---|---|
부지런한 사랑-일기에 답글만 달았을 뿐인데... (44) | 2024.09.19 |
에펠탑 아래의 작은 앤티크 숍-100을 주는 사랑은 위험하다. (46) | 2024.09.11 |
괴물-나는 정말 괴물일까? (25) | 2024.09.09 |
아무도 없는 숲속에서-'쿵' 소리가 났을까? (5) | 2024.09.02 |